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건설업7

[건설업의 미래 A to Z] 0. 미래의 건설업 미리보기

건설업의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요? 건설업이 어떤 변화의 소용돌이 위에 있는지,이 속에서 우리는 무엇을 해야할지,힘께 알아볼까요~? 안녕하세요 MZ빌드업 기자단 기획기사 [건설업의 미래 A to Z] 서문 작성을 맡은 유나영기자입니다. 😊MZ세대의 시선으로 건설 직무를 탐구하고, 나아가 취준생들이 궁금해할 정보들을 떠먹여 주는 것을 목표로 활동하고 있습니다.저희 팀은 이번에 "건설업의 미래"라는 대주제로 시리즈 기사를 기획했어요.이번 기사가 여러분들이 건설업이 나아가는 방향을 이해하는데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변화의 바람, 건설업도 혁신이 필요하다 건설 산업은 많은 위기를 직면하고 있습니다. 건설 인력 고령화, 외국인 노동자 증가, 생산성 정체 등 기존의 고질적인 문제와 더불어 건설경기침체 .. 6. 빌드업 뉴스크루 2025. 4. 12.

2. 도급관계 내 직무 개념, 한 눈에 이해하기

복잡한 건설업계 속 각 주체가 어떤 역할을 하고 무슨 일을 하는지 궁금하셨죠?이번 기사에서는 일반적으로 수행되는 공공사업과 요즘 화두가 되고 있는 EPC 사업을 중심으로, 다이어그램 속 발주처, 시행사, 설계사, CM사, 시공사 등 주요 주체들의 수행 직무를 정리해봤습니다! (도급관계를 정리해드린 지난 글을 못보셨다면?)1. 건설업 도급관계, 한눈에 정리하기 안녕하세요, MZ 빌드업 기자단 건설ON 팀의 김경현, 김예은, 손상록, 최가영입니다 😊그럼 이번에도 함께 쉽고 재미있게 알아가볼까요?  ✅ PM(Project Management), 프로젝트를 총괄하는 관리자PM은 프로젝트 목표를 이루기 위해 계획부터 일정, 예산, 품질까지 전체를 꼼꼼히 관리하며, 건설사업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될 수 있도록 책임지.. 6. 빌드업 뉴스크루 2025. 3. 27.

1. 건설업 도급관계, 한눈에 정리하기

최근 건설 뉴스에서 자주 등장하는 '조달청', '발주처', '시행사', 그리고 'EPC'.이게 각각 어떤 역할을 하고, 해당 조직에서 근무하면 어떤 업무를 맡게 되는지 궁금하지 않나요? 🤔이번 특집 시리즈의 전체 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참고해주세요!1. 건설업 도급관계, 한눈에 정리하기2. 도급관계 내 직무 개념, 한 눈에 이해하기3. 건설업 도급관계, 헷갈리는 개념 정리! 이번 기사는 첫 번재 순서로, 복잡해 보이는 건설 도급 관계를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봤습니다.안녕하세요, MZ빌드업 기자단 건설ON 팀의 김경현, 김예은, 손상록, 최가영입니다! 😊건설업계 취업을 준비하는 분들을 위해, 저희가 함께 알아두면 좋을 업계 흐름을 쉽게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해요.그럼, 함께 알아보.. 6. 빌드업 뉴스크루 2025. 3. 20.

[알쓸건잡_건설과 경제] 02. 금리와 물가 그리고 건설

경제 이야기를 할 때 빠질 수 없는 단어가 2가지 있습니다.  바로 금리와 물가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금리와 물가에 대한 기본지식, 금리와 물가의 변동이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 건설과는 어떤 연관이 있는지를 공부해 보겠습니다.    1. 금리금리(Interest rate) : 돈에 대한 이자율- 돈을 빌려주거나 예금을 예치했을 때 붙는 이자나 그 비율을 뜻하는 말이다.  예시로 은행에 100만 원을 예금하고 1년 뒤에 원금을 합해 110만 원을 받으면 10만 원은 이자이고 100만 원에 대한 10만 원의 이자율은 10%입니다. 여기서 이 10%가 바로 금리이다. 이를 풀어 말하면 물건값과 같이 돈을 빌린 대가로 지불하는 금액이라고 할 수 있다.  금융시장에서도 금리가 적용되고 금리의 기준이 되.. 5. 알쓸건잡 2025. 3. 3.

한국 건설산업 미래 전략 : 건설사들은 어디로 나아가고 있는가?

건설업 불황이 장기화하고 있는 가운데 건설사들이 생존을 위한 전방위적인 쇄신에 나서고 있습니다. 외연확장이나 내부 인사, 사내 분위기, 경영 비전 재설정 등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이번 기사에는 시공능력평가 상위 건설사들과 눈에 띄는 중견건설사들이 바라보는 미래먹거리, 새로운 비전등을 중심으로 정리하여 보겠습니다.   시공능력평가 상위 3개 기업1. 현대건설- 현대건설은 건설산업 밸류체인 전 영역을 아우르는 글로벌 건설 리더로서의 미래를 개척해나가고자 하고 있습니다.   스마트건설 활용실적 등급 AA를 받은 기업 4곳 (현대건설, 현대엔지니어링, 포스코이앤씨, 삼성물산) 중 1곳으로 스마트건설 분야에 가장 많은 투자를 하고 가장 많이 활용하는 기업입니다.  관련 기술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ICT 융복합,.. 6. 빌드업 뉴스크루 2025. 2. 19.

최근 건설업 관련 규제/강화 입법안으로 본 건설업 동향

최근(2024~2025 이내) 건설업 관련 주요 입법안에 대해 알아보고 입법안을 통해 알아본 건설업의 문제와 개선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법1: 한국건설기계 안전원 설립 제안- 비영리법인인 대한건설기계안전관리원은 안전검사 대행 기관에 불과하며 안전관리 역할에는 한계가 있다. - 건설기계 안전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한국건설기계 안전원을 설립할 것을 제안한다. 건설기계관리법 일부 개정법률안 중서범수 의원 등 10인_24.12.31.제안이유최근 건설기계 등록대수의 지속적 증가뿐만 아니라, 안전사고도 빈번하게 발생하여 건설기계에 대한 안전관리 강화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현행법현행법의 한계 현행법은 건설기계의 안전관리와 관련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건설기계의 검사 시설 및 기술능력을 갖춘 .. 6. 빌드업 뉴스크루 2025. 2. 18.

[건설업 시리즈1] 건설업 특징: 연봉, 근무환경, 하는 일 - 취준생 필독

저는 3년 차 건설사 직원입니다.취업을 앞둔 여러분께 건설업의 특징인 연봉, 근무환경, 그리고 하는 일에 대해 명확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건설업 시리즈] 1편, 시작합니다.건설사 취업준비는 무조건 여기! >>> 국내최대 건설취업 커뮤니티 MZ빌드업🔥건설업 특징: 연봉, 근무환경, 하는 일  1. 건설업 연봉 및 복지1-1. 연봉건설업은 현대자동차가 아니면 웬만한 다른 업계보다 높은 연봉을 자랑합니다. 워낙 삼성, 네이버와 같은 기업들만 조명되다 보니 많이 접하지 못하신 건데요. 대형 건설사 대졸 신입사원 기준으로 계약연봉은 4,500만원 수준. 현장 근무 시 원천징수로는 7000만원에 달합니다. 2년 차에는 8500만원 정도가 나왔습니다. 해외PJT 근무 시 1억 2000만원이 넘는 경우도 실제 있습니.. 2. 건설 취업 준비 2024. 8.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