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5. 알쓸건잡15

[알쓸건잡_건축지식] 10. 콘크리트 양생은?

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만큼.. 어쩌면 그보다 더 중요한 게 양생이라는 생각이 드는데요. 오늘은 콘크리트 양생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정보전달이 주목적이므로 감정을 배제하기 위해 문어체를 사용하겠습니다. 양생이란?콘크리트 양생(curing of concrete)- 콘크리트 타설 후 완전히 굳을 때까지 경화 작용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수분을 유지하고 얼지 않도록 콘크리트를 보호하는 작업 앞서 콘크리트 용어 글(dotoryworld.com/65)에서 콘크리트를 빵 반죽에 비유한적이 있는데 '타설'을 통해서 모양대로 빵을 만들었다면 '양생'은 빵을 단단하게 굽는 작업이라고도 할 수 있다. 양생 왜 해야 할까?빵을 구울 때 적절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해야 빵의 맛과 모양이 제대로 갖추어지는 것처럼 콘크리트도 온도.. 5. 알쓸건잡 2025. 4. 17.

[알쓸건잡_건설산업의 미래] 07. 건설업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어디까지 왔나?

현재 한국에서 이뤄지는 건설업은 대부분 아직 재래식 현장이다. 미래 한국 건설산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대해서 공부해 보도록 하자.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DT 또는 DX)는 디지털의 이해보다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트랜스포메이션'의 의지가 중요하다. 쉽게 말해 디지털이라는 변화의 DNA를 이식시켜 겉과 속 모두를 근본적으로 바꾸는 것을 말한다. - 단순히 디지털 기술 도입이 아니라 조직, 프로세스, 운영 방식까지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의미하고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털 DNA를 이식해 기업이 완전히 탈바꿈하는 것이 진정한 DX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결국 건설업에도 필연적이지만 우리 건설업은 왜 아직도 재래.. 5. 알쓸건잡 2025. 3. 16.

[알쓸건잡_건축지식] 06. 싱크홀의 발생원인

최근 해외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싱크홀 현장이 자주 발생하고 있습니다. 특히 서울과 같은 대도시 한복판에서 싱크홀이 발생하면서 사람들의 관심 또한 커지고 있습니다. 이처럼 위험한 싱크홀이 왜 발생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싱크홀이란? - 싱크홀(sinkhole) : 지반이 내려앉아 지면에 커다란 구멍이나 웅덩이가 생기는 현상 얼마 전까지만 해도 이 싱크홀이라는 단어는 사람들에게 매우 생소한 단어였다. 하지만 최근 서울을 비롯한 주요 도심지에서도 싱크홀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작년 8월 서울 송파구 석촌지하차도에서 대규모 싱크홀이 발견되기도 했다.  그럼 도대체 이 위험천만한 싱크홀이라는 것은 왜 생기는 걸까?  싱크홀이라는 용어 자체는 자연적 원인에 의한 지반함몰을 지칭하지만 국내에서는 인공적인 원.. 5. 알쓸건잡 2025. 3. 16.

[알쓸건잡_건축지식] 12. 건설공사 도급/하도급 의미는?

건설업에서 빠질 수 없는 단어가 바로 도급과 하도급입니다. 이 용어들이 정확히 어떤 의미들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도급 -  어떤 일(건설공사)을 완성할 것을 약정하고, 상대방이 그 일의 결과에 대하여 대가를 지급할 것을 약정하는 계약  원도급계약- 위 그림과 같이 발주처가 요구하는 건설공사를 완성할 것을 직접 약정하고 발주처는 그 일의 결과에 대하여 대가를 지급할 것을 약정하는 것이 원도급계약이다. 쉽게 말해 발주처와 직접 계약을 맺은 시공사와의 계약을 뜻한다. 발주처는 건설업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도급계약을 체결한다. 하도급계약- 도급받은 건설공사의 전부 또는 일부를 도급하기 위해 수급인(시공사)이 제삼자와 체결하는 계약 왜 직영공사를 하지 않는가?- 발주처가 직접 건설을 위한 인력과 장.. 5. 알쓸건잡 2025. 3. 16.

[알쓸건잡_건축지식] 07. 콘크리트 용어 설명

건축에서 빠질 수 없는 콘크리트, 우리는 흔히 자주 쓰는 단어나 용어에 대한 정확한 의미를 알고 있다고 착각하고 지나가기도 합니다. 기본적인 용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막상 설명해 보라고 하면 명확히 답이 나오지 않았던 콘크리트 용어들을 정리하고 콘크리트에 대해 더 자세히 이해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려 합니다.  1. 콘크리트란 무엇인가?콘크리트의 정의 : 시멘트, 물 그리고 강도를 위한 모래 등의 골재 및 혼화재료를 적절하게 배합하여 굳힌 혼합물을 뜻하는 말. 현대의 콘크리트는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둘 다 회색이고 건축에 쓰이는 재료라고 해서 콘크리트와 시멘트를 절대 혼동해서는 안되고 또 콘크리트에 들어가는 시멘트의 비율도 그렇게 높지 않다. 보통 콘크리트는 골재가 용적의 70%를 차.. 5. 알쓸건잡 2025. 3. 16.

[알쓸건잡_건설과 경제] 03. 부동산 PF대출

건설업에 관심이 있거나 건설사를 희망하는 사람들, 또는 경제에 관심이 있어 뉴스를 자주 보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단어가 있습니다. 바로 부동산 PF(Project Financing) 대출입니다. 이 글에서는 부동산 PF대출이 어떤 구조로 이루어지는지, 그리고 건설사들이 왜 PF 위기를 겪고 있는지를 살펴보겠습니다. PF 대출 구조 이해하기 시행사 : 부동산 개발사업의 실질적인 사업 운영자이며 보통 시공사에게 도급건설을 주어 건축을 완성하며 자금은 금융기관으로부터 조달하는 등의 역할을 한다.  민간사업자라면 부동산개발회사, 재건축 아파트의 경우 재건축 조합 1단계는 브릿지론을 통해 땅을 사는 것이다.  브릿지론이란? - 일시적인 자금난에 빠질 경우 일시적으로 자금을 연결하는 다리(Bridge)가 .. 5. 알쓸건잡 2025. 3. 16.

[알쓸건잡_건설과 경제] 05. 선분양, 후분양 차이점과 구조

청약, 선분양, 후분양, 미분양 이런 용어들을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사실 취준생이나 대학생 입장에서는 당장 집을 살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익숙하면서도 낯선 용어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예비건설인으로서 이런것들이 어떤 의미가 있고 건설사와 어떤 연관이 있는지 알아보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선분양과 후분양의 차이점과 이루어지는 구조를 설명하고 나아가 이들이 건설사와 소비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선분양과 후분양의 차이분양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청약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자 📌 주택청약이란? - 정부나 건설사가 공급하는 신규아파트를 구매하기 위해 사전에 신청하는 제도, 쉽게 말해 아파트의 당첨기회를 얻기 위해 미리 줄을 서는 과정 ✅ 주택청약의 기본구조청약에 지원하기 위.. 5. 알쓸건잡 2025. 3. 15.

[알쓸건잡_건설과 경제] 02. 금리와 물가 그리고 건설

경제 이야기를 할 때 빠질 수 없는 단어가 2가지 있습니다.  바로 금리와 물가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금리와 물가에 대한 기본지식, 금리와 물가의 변동이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 건설과는 어떤 연관이 있는지를 공부해 보겠습니다.    1. 금리금리(Interest rate) : 돈에 대한 이자율- 돈을 빌려주거나 예금을 예치했을 때 붙는 이자나 그 비율을 뜻하는 말이다.  예시로 은행에 100만 원을 예금하고 1년 뒤에 원금을 합해 110만 원을 받으면 10만 원은 이자이고 100만 원에 대한 10만 원의 이자율은 10%입니다. 여기서 이 10%가 바로 금리이다. 이를 풀어 말하면 물건값과 같이 돈을 빌린 대가로 지불하는 금액이라고 할 수 있다.  금융시장에서도 금리가 적용되고 금리의 기준이 되.. 5. 알쓸건잡 2025. 3. 3.

[알쓸건잡_건설과 경제] 06. 재건축, 재개발 차이 이뤄지는 과정

요즘 우리가 청약하는 아파트는 대부분 재개발이나 재건축을 통해 지어집니다. 이 둘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정확히 어떤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형건설사들이 정비사업에 뛰어든다는 뉴스를 많이 보셨을 텐데, 재건축/재개발의 깊은 이해를 위해 함께 공부해보겠습니다.   1. 재건축 재개발 차이는 뭘까?  보통 재개발은 도심, 공장, 주택 재개발사업 등 세가지로 나뉜다. 도심 재개발사업은 상업지역이나 도로변의 업무용 건축물을 정비하는 사업을, 공장 재개발사업은 노후공장이 밀집해 있는 공업지역의 공장 건축물을 정비하는 사업을 말한다. 주택 재개발사업은 주거지역을 대상으로 지역 내 노후, 불량주택을 정비하는 사업을 가리킨다.  반면 재건축사업은 단독, 공동주택 등의 노후, 불량주택을 법.. 5. 알쓸건잡 2025. 2.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