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6. 빌드업 뉴스크루22

재건축·재개발 문턱 낮춰 주택 공급 활성화

지속되는 건설업계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정비사업 규제 완화 및 주택 공급 확대 방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재건축·재개발 규제 완화 배경1. 주택공급부족과 집값 상승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공급이 원활하지 않게 되면서 집값이 급등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정부가 신규 택지 개발 대신 정비사업. 즉, 재건축 재개발을 통한 공급 확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2.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제 등 강한 규제가 시장 위축 초래과거 재건축 부담금(초과이익환수제), 안전진단 기준 강화 등으로 인해 정비사업이 지연되거나 무산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러한 규제가 사업성을 악화시키고 민간 건설사의 참여의 어려움을 증가시켰습니다. 3. 도시 노후화 문제 심화 수도권을 비롯한 도시에서 노후 아파트 비율 증가하였습니다.  주택 공급 .. 6. 빌드업 뉴스크루 2025. 2. 20.

한국 건설산업 미래 전략 : 건설사들은 어디로 나아가고 있는가?

건설업 불황이 장기화하고 있는 가운데 건설사들이 생존을 위한 전방위적인 쇄신에 나서고 있습니다. 외연확장이나 내부 인사, 사내 분위기, 경영 비전 재설정 등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이번 기사에는 시공능력평가 상위 건설사들과 눈에 띄는 중견건설사들이 바라보는 미래먹거리, 새로운 비전등을 중심으로 정리하여 보겠습니다.   시공능력평가 상위 3개 기업1. 현대건설- 현대건설은 건설산업 밸류체인 전 영역을 아우르는 글로벌 건설 리더로서의 미래를 개척해나가고자 하고 있습니다.   스마트건설 활용실적 등급 AA를 받은 기업 4곳 (현대건설, 현대엔지니어링, 포스코이앤씨, 삼성물산) 중 1곳으로 스마트건설 분야에 가장 많은 투자를 하고 가장 많이 활용하는 기업입니다.  관련 기술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ICT 융복합,.. 6. 빌드업 뉴스크루 2025. 2. 19.

최근 건설업 관련 규제/강화 입법안으로 본 건설업 동향

최근(2024~2025 이내) 건설업 관련 주요 입법안에 대해 알아보고 입법안을 통해 알아본 건설업의 문제와 개선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법1: 한국건설기계 안전원 설립 제안- 비영리법인인 대한건설기계안전관리원은 안전검사 대행 기관에 불과하며 안전관리 역할에는 한계가 있다. - 건설기계 안전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한국건설기계 안전원을 설립할 것을 제안한다. 건설기계관리법 일부 개정법률안 중서범수 의원 등 10인_24.12.31.제안이유최근 건설기계 등록대수의 지속적 증가뿐만 아니라, 안전사고도 빈번하게 발생하여 건설기계에 대한 안전관리 강화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현행법현행법의 한계 현행법은 건설기계의 안전관리와 관련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건설기계의 검사 시설 및 기술능력을 갖춘 .. 6. 빌드업 뉴스크루 2025. 2. 18.

스마트 건설기술의 한계와 문제점, 취준생 준비사항

스마트 건설기술의 도입배경과 한계에 대해 알아보고 건설업계 취준생으로서의 준비사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스마트건설기술 도입배경건설업은 저출산·고령화로 인해 인력의 질적·양적 부족과 생산성 저하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요.이에 국토교통부는 2022년 7월부터 기존의 2D 도면과 인력 중심이었던 건설산업을 첨단 기술 중심으로 전환하고 생산성 및 품질 향상과 현장 안전 관리 강화를 목표로 '스마트 건설 활성화 방안(S-Construction 2030)'을 발표했습니다. 이후 후속 조치로 시공능력평가 상위 6개 건설사를 중심으로 ‘스마트건설 얼라이언스’를 출범시키며 본격적인 산업 변화에 나섰습니다. 과연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전면 도입, 로봇 및 IoT 활용을 통한 건설 .. 6. 빌드업 뉴스크루 2025. 2.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