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70

[팀원모집] 'AI 건설안전 시스템' 개발 프로젝트

안녕하세요 MZ빌드업입니다. 우리 커뮤니티 맴버가 직접 기획/수행하는 프로젝트에서 팀원을 구하고 있어 소개드립니다. 건설 취업의 필살기는 나의 실행력을 보여줄 수 있는 프로젝트를 직접 기획/실행 하는 것이라고 아주 많이 강조드렸는데요. 한 맴버가 이를 현실화 하기 위해 첫 발을 내딛었기에, 저도 지원하려고 합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아래 글을 통해 확인해주시면 되며,지원하기는 빌드업 커뮤니티 톡방 내 게시판을 확인해주세요! 건설사 취업준비는 무조건 여기! 국내최대 건설취업 커뮤니티 MZ빌드업🔥MZ빌드업 입장  아래는 프로젝트 팀장이 직접 작성한 글입니다.안녕 형들 ~ 나는 건설환경 4학년인 사람이야~ 빌드업 방을 통해서 많은 도움 얻고 있어.내가 이번에 제안하고자 하는 것은, 건설안전에 대한 프.. 2. 건설 취업 준비 2025. 3. 25.

1. 건설업 도급관계, 한눈에 정리하기

최근 건설 뉴스에서 자주 등장하는 '조달청', '발주처', '시행사', 그리고 'EPC'.이게 각각 어떤 역할을 하고, 해당 조직에서 근무하면 어떤 업무를 맡게 되는지 궁금하지 않나요? 🤔이번 특집 시리즈의 전체 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참고해주세요!1. 건설업 도급관계, 한눈에 정리하기2. 도급관계 내 직무 개념, 한 눈에 이해하기3. 건설업 도급관계, 헷갈리는 개념 정리! 이번 기사는 첫 번재 순서로, 복잡해 보이는 건설 도급 관계를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봤습니다.안녕하세요, MZ빌드업 기자단 건설ON 팀의 김경현, 김예은, 손상록, 최가영입니다! 😊건설업계 취업을 준비하는 분들을 위해, 저희가 함께 알아두면 좋을 업계 흐름을 쉽게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해요.그럼, 함께 알아보.. 6. 빌드업 뉴스크루 2025. 3. 20.

EPC의 의미와 PM(Project Management) 그리고 PMBOK

서론EPC(Engineering, Procurement, and Construction) 프로젝트란 설계(Engineering)부터 자재 및 장비 조달(Procurement), 시공(Construction)까지 전 과정을 일괄 수행하는 대규모 프로젝트 계약 방식을 말한다 (Engineering, procurement, and construction - Wikipedia). 일반적으로 발전소, 플랜트, 대형 인프라 등 복잡한 사업에서 활용되며, EPC 계약자(컨트랙터)는 정해진 기간 내에 요구된 성능의 완공 시설을 인도할 책임을 진다 (Engineering, procurement, and construction - Wikipedia). 이러한 특성 때문에 EPC 프로젝트에서는 범위, 일정, 원가 등의 목표.. 2. 건설 취업 준비 2025. 3. 17.

[알쓸건잡_건설산업의 미래] 07. 건설업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어디까지 왔나?

현재 한국에서 이뤄지는 건설업은 대부분 아직 재래식 현장이다. 미래 한국 건설산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대해서 공부해 보도록 하자.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DT 또는 DX)는 디지털의 이해보다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트랜스포메이션'의 의지가 중요하다. 쉽게 말해 디지털이라는 변화의 DNA를 이식시켜 겉과 속 모두를 근본적으로 바꾸는 것을 말한다. - 단순히 디지털 기술 도입이 아니라 조직, 프로세스, 운영 방식까지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의미하고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털 DNA를 이식해 기업이 완전히 탈바꿈하는 것이 진정한 DX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결국 건설업에도 필연적이지만 우리 건설업은 왜 아직도 재래.. 5. 알쓸건잡 2025. 3. 16.

[알쓸건잡_건축지식] 06. 싱크홀의 발생원인

최근 해외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싱크홀 현장이 자주 발생하고 있습니다. 특히 서울과 같은 대도시 한복판에서 싱크홀이 발생하면서 사람들의 관심 또한 커지고 있습니다. 이처럼 위험한 싱크홀이 왜 발생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싱크홀이란? - 싱크홀(sinkhole) : 지반이 내려앉아 지면에 커다란 구멍이나 웅덩이가 생기는 현상 얼마 전까지만 해도 이 싱크홀이라는 단어는 사람들에게 매우 생소한 단어였다. 하지만 최근 서울을 비롯한 주요 도심지에서도 싱크홀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작년 8월 서울 송파구 석촌지하차도에서 대규모 싱크홀이 발견되기도 했다.  그럼 도대체 이 위험천만한 싱크홀이라는 것은 왜 생기는 걸까?  싱크홀이라는 용어 자체는 자연적 원인에 의한 지반함몰을 지칭하지만 국내에서는 인공적인 원.. 5. 알쓸건잡 2025. 3. 16.

[알쓸건잡_건축지식] 12. 건설공사 도급/하도급 의미는?

건설업에서 빠질 수 없는 단어가 바로 도급과 하도급입니다. 이 용어들이 정확히 어떤 의미들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도급 -  어떤 일(건설공사)을 완성할 것을 약정하고, 상대방이 그 일의 결과에 대하여 대가를 지급할 것을 약정하는 계약  원도급계약- 위 그림과 같이 발주처가 요구하는 건설공사를 완성할 것을 직접 약정하고 발주처는 그 일의 결과에 대하여 대가를 지급할 것을 약정하는 것이 원도급계약이다. 쉽게 말해 발주처와 직접 계약을 맺은 시공사와의 계약을 뜻한다. 발주처는 건설업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도급계약을 체결한다. 하도급계약- 도급받은 건설공사의 전부 또는 일부를 도급하기 위해 수급인(시공사)이 제삼자와 체결하는 계약 왜 직영공사를 하지 않는가?- 발주처가 직접 건설을 위한 인력과 장.. 5. 알쓸건잡 2025. 3. 16.

[알쓸건잡_건축지식] 07. 콘크리트 용어 설명

건축에서 빠질 수 없는 콘크리트, 우리는 흔히 자주 쓰는 단어나 용어에 대한 정확한 의미를 알고 있다고 착각하고 지나가기도 합니다. 기본적인 용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막상 설명해 보라고 하면 명확히 답이 나오지 않았던 콘크리트 용어들을 정리하고 콘크리트에 대해 더 자세히 이해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려 합니다.  1. 콘크리트란 무엇인가?콘크리트의 정의 : 시멘트, 물 그리고 강도를 위한 모래 등의 골재 및 혼화재료를 적절하게 배합하여 굳힌 혼합물을 뜻하는 말. 현대의 콘크리트는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둘 다 회색이고 건축에 쓰이는 재료라고 해서 콘크리트와 시멘트를 절대 혼동해서는 안되고 또 콘크리트에 들어가는 시멘트의 비율도 그렇게 높지 않다. 보통 콘크리트는 골재가 용적의 70%를 차.. 5. 알쓸건잡 2025. 3. 16.

[알쓸건잡_건설과 경제] 03. 부동산 PF대출

건설업에 관심이 있거나 건설사를 희망하는 사람들, 또는 경제에 관심이 있어 뉴스를 자주 보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단어가 있습니다. 바로 부동산 PF(Project Financing) 대출입니다. 이 글에서는 부동산 PF대출이 어떤 구조로 이루어지는지, 그리고 건설사들이 왜 PF 위기를 겪고 있는지를 살펴보겠습니다. PF 대출 구조 이해하기 시행사 : 부동산 개발사업의 실질적인 사업 운영자이며 보통 시공사에게 도급건설을 주어 건축을 완성하며 자금은 금융기관으로부터 조달하는 등의 역할을 한다.  민간사업자라면 부동산개발회사, 재건축 아파트의 경우 재건축 조합 1단계는 브릿지론을 통해 땅을 사는 것이다.  브릿지론이란? - 일시적인 자금난에 빠질 경우 일시적으로 자금을 연결하는 다리(Bridge)가 .. 5. 알쓸건잡 2025. 3. 16.

[알쓸건잡_건설과 경제] 05. 선분양, 후분양 차이점과 구조

청약, 선분양, 후분양, 미분양 이런 용어들을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사실 취준생이나 대학생 입장에서는 당장 집을 살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익숙하면서도 낯선 용어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예비건설인으로서 이런것들이 어떤 의미가 있고 건설사와 어떤 연관이 있는지 알아보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선분양과 후분양의 차이점과 이루어지는 구조를 설명하고 나아가 이들이 건설사와 소비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선분양과 후분양의 차이분양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청약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자 📌 주택청약이란? - 정부나 건설사가 공급하는 신규아파트를 구매하기 위해 사전에 신청하는 제도, 쉽게 말해 아파트의 당첨기회를 얻기 위해 미리 줄을 서는 과정 ✅ 주택청약의 기본구조청약에 지원하기 위.. 5. 알쓸건잡 2025. 3. 15.
반응형